티스토리 뷰
* 이 포스팅은 개인적으로 공부했던 자료를 조사하고 정리한 자료 입니다. 최대한 정확하게 작성하려고 하였습니다.
네트워크
네트워크(Network)란? Net + Work의 합성어 로써 여러사람과 작업을 하기 위해 고안해낸 방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< 자료출처 : 쉐어슬라이드>
네트워크의 종류
<네트워크의종류 / 자료출처 : 블로그 마인드 넷 >
- WAN(Wide Area Network) : 광역네트워크
- MAN(Metropolitan Arear Network) : 도시권통신망
- LAN(Local Area Network) : 근거리통신망
- PAN(Personal Arear Network) : 가장 작은단위의 근거리 통신망
네트워크 구조 종류
<네크워크 구조 종류 / 자료출처 : 마인드넷>
스타 : 여러개의 컴퓨터가 서로서로를 연결되있는 구조
링 : 네트워크가 링처럼 구조를 이뤄어 졌다고 해서 붙여졌다.
버스 : 한 라인에 여러개의 컴퓨터가 붙어 있는 구조
인터넷 (Internet)
- 네트워크들의 집합 (네트워크)
- Inter + Network의 합성어
- 컴퓨터로 연결되어 프로토콜을 이용해 정보를 주고 받는 컴퓨터네트워크
TCP/IP (통신규약 중 한개)
- TCP :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
- IP : Internet Protocol
WWW(World Wide Web)
- 문서(웹페이지)들의 정보의 모임
- 정보의 분산과 연결
: 데이터를 여러곳에 저장하여 연결시켜서 정보를 공유를 한다.
: 한곳에 모으기에는 너무 유지관리가 힘들어서
URL(Uiform Resource Locator)
- [protocol]://[host]:[port]/[path] 로 이루어짐
프로토콜 : 통신규약/장비사이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
- HTTP(Hyper Text T Protocol)
: 문서간의 이동을 위한 규약 (GET, POST, PUT, DELETE가 있다)
- FTP(File Trans Protocol)
: 파일전송을 위한 규약
- TELNET
: 원격접속을 위한 규약
- SSH
: 텔넷의 대용목적으로 설계 되었고 텔넷과 달리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서 만들어 졌다.
: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로 로그인 하여 원격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하해줄수 있도록
해주는 응용 프로그램 혹은 프로토콜이다.
- SMTP
: 전자메일 발송 규약 (이메일을 보낼때 모두 이 규약에 의해 전송 된다)
HostName
: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에 부과 되는 고유한 이름(IP, 도메인, MAC주소)
IP Address
: 컴퓨터 네트워크 장치들 사이 인식을 하기 위에 발급 되는 번호
: 인터넷상의 컴퓨터의 고유 주소값을 나타낸다. ipv4기준으로 0~255까지 표현이 가능하며 총 4개의 자리를 가지며 각 자리의 구분은 .( dot = 점) 으로 한다.
* 최근에는 ipv6 까지 구현이 되어 있다.
DNS(Domain Namin System)
: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한다.
: 즉, 인간이 외우기 어려운 숫자 체의 IP를 문자 체계로 바꾸어서 사용하기 쉽도록 한다.
: 각각의 운영체제에는 host를 관장하는 파일들이 있는데 여기에 넣게 되면 해당컴퓨터에서는 해당 아이피를 참조를 한다.
: 각 DNS를 담당하는 서버가 있는데 접속할때 마다 서로 공유를 하게 된다.
MAC Address : 네트워크 장치가 가지는 고유의 주소값 혹은 장치 식별자
PORT
: 통신을 할때 포트로 구분을 지어 특정통신을 할수 있도록 한다.
: 가상의 논리적 통신 통로
: 번호로써 구분이 된다. (0 ~ 65335개 까지 사용 가능하다)
: 포트마다 사용되는 특정 프로그램은 약속을 하고 그 포트만 사용을 한다(일반적인 통념개념)
: 포트를 열어두면 누구나 들어 올수 있다 그래서 사용하는 포트만 사용이 되도록 관리 한다 (OS에서 관리)
OIS 7계층
< OIS 7 Layer >
각 계층마다 필요한 정보들이 있는데 그 정보들이 어떻게 담기는가에 대해 나타낸다.
이 것은 추상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꼭 이대로 전송이 된다는 보장은 없으나
이렇게 보낸다는 개념적인 통념을 사용한다.
각각에 필요한 부분에서 Header 쌓아서 최종적으로 데이터를 함께 보낸다
[Data] 가 실제 데이터 그외에는 각각에서 사용하기 위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헤더이다.
암호화
대칭키
: 하나의 키를 받는 사람과 보내는 사람끼리 공유를 하여 암/복호화를 한다.
< 대칭키 / 자료출처 : 슬라이드셰어>
같은 키를 이용하여 암복호화를 진행하기 때문에 키값만 있으면 보안은 끝장난다.
DES, AES, SEED등이 이방식을 사용한다.
비대칭
:개인키/공개키를 가지고 암/복호화를 한다.
<비대칭키(공개키) / 자료출처 : 슬라이드셰어>
위의 그림과 같이 키가 공개키, 개인키 두개가 존재하게 되는데
이 두개의 키가 있어야지만 복호화가 진행 된다.
역시 이것의 문제도 키가 털리면 끝장난다.
: RSA 등이 이 방식을 사용
해시
: 임의의 데이터(암호등)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여 원래 입력값과의 관계를 찾기 어렵게 한다.
: 보통 헤더의 암호화 혹은 암호화 정보를 표현하는 부분에서 사용 되는 듯하다.
: 하지만 값을 변경을 하는 부분에 있어서 고정된 값이 나오므로 이미 데이터를 암호화 하는 과정에서는 사용이 되지 않는다.
: 암호화를 사용하는데 실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부분에서 특정값을 변경시키고 싶을때 사용한다.
* 참고링크
- OIS 7계층 : http://soulrider.tistory.com/74
- 암호화 : http://www.slideshare.net/ssuser824132/ss-46085818
'배워서남주기=공부 > 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이론]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(0) | 2016.05.14 |
---|---|
[이론] 컴퓨터의 연산 와 운영체제 (0) | 2016.05.14 |
[이론] 컴퓨터란 (3) | 2016.05.03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ios
- bigsur
- 리얼타임데이터베이스
- #공부
- Appplication
- 길티기어카페
- tls1.2
- 오토레이아웃
- #네트워크
- 파이어베이스
- firebase
- 공남기
- swift3
- NOT_LAUNCH
- 사용기
- #컴퓨터기초
- #컴퓨터
- 스위프트3
- 삽질삽질
- how to play a guilty gear accent core online using
- Autolayout
- #이론
- 모바일앱
- #암호화
- Firebase realtime database
- 공부해서남주기
- #기초
- 웬스
- Serversiede
- bouncycastleprovider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